요검사학실습
소변은 인체 대사 활동의 결과로 콩팥에서 생성되며 체내의 장해나 질병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기 때문에 질병의 진단이나 치료 과정의 관찰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물리적 검사, 화학적 검사 및 현미경적 검사를 통해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질병의 조기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진단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공부하고 실습한다.
취업준비와전략
실전 취업을 위한 준비로 취업 진단을 통한 본인의 취업 역량을 파악하고, 입사지원서, 자기소개서 작성 및 모의면접 등을 통해 취업 스킬과 취업 실전 역량을 강화시켜 본인의 적성과 전공에 적합한 직업 선택과 구직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신경기능검사학및실습
신경계통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신경세포의 활동 중에 발생하는 전기 현상을 이해하고 각 검사법을 수행하여 결과에 대한 해석 및 임상적 의의를 학습한다.
임상병리사현장실습
병원으로서의 임상실습을 통하여 임상병리사로서 임상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고 환자에 대한 태도 및 임상적응 능력을 기른다.
혈청학실습
질병의 상태, 질병의 과정 등을 판단하는데 있어, 항원의 자극에 의하여 생성된 인체 내의 항체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항원, 항체반응을 이용한 혈청학적 검사로 질환의 감염여부를 진단할 수 있도록 습득시킨다.
임상화학(I)
임상화학(I) 과목은 인체의 혈액, 체액, 조직 등에서의 화학적 분석을 통해 건강 상태를 평가하고,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는 기초적인 과목이다. 이 과목에서는 임상화학의 기본 원리와 생화학적 분석 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다양한 검사 항목과 그 임상적 의의에 대해 학습한다. 학생들은 혈액과 체액에서 측정할 수 있는 주요 분석 항목(예: 혈당, 단백질, 전해질, 효소 등)의 검사법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정상 값과 병리적 변화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각 검사의 원리와 임상적 적용에 대해 이해하고, 실제 실험실 환경에서 실습을 통해 검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배운다.
임상혈액학(I)
혈액(blood)은 인체의 생명현상을 유지시켜주는 액체로서 임상혈액학에서는 혈액의 성질, 기능 그리고 질환(빈혈, 백혈병, 출혈성질환)의 진단 및 환자의 치료과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의료기술을 연구한다.
의학용어
의학용어의 어원 즉, 라틴어와 그리스어에서 파생된 어원을 소개하여 의학용어의 기본인 접두사, 접미사, 어간의 뜻을 일반용어로 익혀 임상병리학에서 쓰이는 각종의 의학용어를 쉽게 풀이할 수 있도록 기초적 면을 학습한다.
병리학
기초의학의 핵심 분야인 병리학은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의 신체구조적, 생리적 변화를 규명하여 질병을 이해시킨다.
해부생리학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 조직 및 기관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지식을 통하여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생명현상에 대한 기전을 학습하고 임상질환의 병태 생리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초의학 지식을 소개한다.